“감사”는 우리 마음을 설레게 만듭니다. 왜냐하면 감사는 ‘쓸수록 힘이 나고, 매일 행복해지게 하는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 줄의 기적, 감사일기”의 저자도 그 힘을 체험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합니다.
“처음에는 너무 쉽고 간단해 보여서 ‘설마이게 될까?’하고 의심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딱 3일만 써보세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자신의 모습에 깜짝 놀라실 겁니다!”라고.
저자 한경윤은 초등학교 교사라는 직업인으로, 주부로, 엄마로, 아내로 살아오면서 감당해야 하는 수많은 역할 때문에 힘들어하며 지내다가 어느 날 데보라 노빌의 ‘감사의 힘’이라는 책을 읽으며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저자는 꾸준한 독서가 자신의 사고체계에 변화를 가져다주었다면, 감사일기는 마음의 체계를 변화시켰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365일 눈뜨는 순간부터 감사하게 되었고, 평범한 일상이 기적과 행운으로 바뀌어서 이 비법을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어 이 책을 썼다고 말합니다.
또한 저자는 책으로 배운 지식을 삶에 제대로 적용하려면 마음의 중심에 흔들지 않는 무엇인가가 있어야 했는데, 그것을 ‘감사일기’로 채웠다고 합니다. 내면에 꽉 차 있는 알 수 없는 불안한 감정들을 감사로 대체한 것 입니다.
사실 매일 감사일기를 쓴다는 게 저자에게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저자는 이것을 이겨내기 위해 ‘작심삼일’로 하라고 말합니다. 작심삼일을 2번 하면 6일이 되고, 7번 하면 21일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작심하고 작심하여 실행하다 보면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좋은 습관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금방 한 달 석 달 그리고 일년을 늘 감사하며 살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면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감사해야할까요?” 저자는 시행착오를 통해 감사일기 작성의 7가지 원칙을 알려줍니다.
1. 한 줄이라도 좋으니 매일 써라. 2. 주변의 모든 일을 감사하라. 3. 무엇이 왜 감사한지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라. 4. 긍정문으로 써라. 5. ‘때문에’가 아니라 ‘덕분에’로 써라. 6. 현재시제로 작성하라. 7. 모든 문장은 ‘감사합니다’로 마무리하라.
사랑하는 여러분, 오늘부터 단 한 줄이라도 감사일기를 써보세요. 그리고 감사 나눔을 해 보세요. 지루한 일상이 설레는 일상으로 변화될 것입니다.
02/07/2021